2024/07/11 4

[컴퓨터 네트워크] Mobility

# 컴네 12일차 - 뒷부분모빌리티(이동성)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모바일 노드의 이동성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은 2가지가 있다.1. 라우팅으로 처리하기라우터가 이동할 노드의 주소를 알리라우터가 이동 노드의 위치를 관리하여 엔드 시스템의 변경 없이 통신을 유지한다. 2. 엔드 시스템이 처리하기엔드 시스템이 이동 노드의 위치를 처리하는 두 가지 방법2-1. 간접 라우팅(indirect routing) : 홈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 노드로 패킷을 전달2-2. 직접 라우팅(direct routing) : 송신자가 이동 노드의 외부 주소를 알고 직접 패킷을 전달용어 설명! 이동 장치가 네트워크를 이동할 때 발생하는 등록 과정(Mobility Registration) 단계 1:설명: 이동 장치가 방문한 네트워크에 진..

[컴퓨터 네트워크] WiFi - 12-1

# 컴네 12일차WiFi는 전자기기들이 무선 랜에 연결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로서 IEEE 802.11에 기반한다. 먼저 IEEE 802.11 랜 아키텍처를 살펴보자.무선 호스트들은 기지국(=base station, access point)들과 통신한다. BSS(Basic Service Set)이란 기지국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범위를 말한다. cell이라고도 한다.802.11은 해당 범위의 주파수를 대략 11개의 채널로 나눈다. 같은 채널에 여러 AP가 있을 경우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호스트는 반드시 AP와 연결되어야 한다. 호스트는 채널을 스캔하여 AP의 이름(SSID)와 MAC 주소를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을 확인한 후 연결할 AP를 선택한다. 연결이 완료되면 DHCP를 통해 IP 주소를 할..

[컴퓨터 네트워크] LANs : addressing, ARP

#컴네 10일차 - (3)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란 주소 결정 프로토콜이다. IP주소를 MAC주소와 매칭시키기 위한 프로토콜이다.먼저 IP 주소와 MAC 주소 각각에 대해 알아보자.IP주소는 32bit(in IPv4)로 네트워크 계층(3계층)에서 패킷을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주소이다.MAC주소는 대부분 48bit길이이며 로컬 네트워크 내에서 물리적으로 연결된 인터페이스 간의 통신(프레임 전달)을 위해 사용된다.중요한 차이점은 IP주소는 네트워크 3계층에서, MAC주소는 데이터 링크 2계층에서 사용된다는 것이다.LAN(Local Area Network)란 제한된 지리적 범위 내에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다. 각 LAN에 연결된 장치는 고유한 LAN주소를 가지고 있는데 이를..

[컴퓨터 네트워크] Wireless : Intro, CDMA

# 컴네 11일차 - 뒷부분지금까지는 유선을 기본으로 살펴보았는데 이제 무선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wireless와 mobility는 비슷하지만 다르다. wireless는 링크가 무선인 네트워크를 의미하고 mobility는 사용자가 움직이는 것이다.무선 네트워크는 wireless hosts, base station, wireless link, infrastructure mode로 구성된다.wireless hosts(무선 호스트)는 노트북, 스마트폰 같은 장치를 의미한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stationary(고정형, 비이동) 혹은 mobile(이동형)이다. 무선이 항상 mobility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Base Station(기지국)은 주로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중계 역할을 수행하며..